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윤석열 대통령이 워싱턴을 떠나면서 주요 정상 외교 일정은 마무리가 됐습니다. 대통령실 출입하는 조아라 기자와 평가를 좀 해보겠습니다. <br> <br>Q. 조 기자, 이번 순방 외교에서 한미 못지 않게 한일, 한미일 이야기가 많이 나온 것 같아요? <br> <br>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특히 미국은 이번 순방에서 한일 관계 개선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의 결단을 여러 번 치하했습니다. <br><br>[조 바이든 / 미 대통령(한미 정상 소인수 회담)] <br>"대통령님, 담대하고 원칙이 있는 일본과의 외교적 결단에 감사합니다." <br> <br>[존 커비 /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] <br>"우리는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윤 대통령의 리더십에 감사합니다" <br><br>지난달 한일 정상회담, 그리고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거치면서 한미일 협력이 사실상 복원됐다는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일본도 화답하는 모양새인데요. <br> <br>앞서 보신대로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 복원시켰고, 추경호 경제부총리를 G7 재무장관 회의에도 초청했습니다. <br><br>한일, 한미 정상이 각각 만난데 이어 다음달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정상이 만나면서 한미일 협력은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숙제도 안게 됐는데요. <br> <br>중국이 한미 공동성명에 대만이 언급된 것을 두고, 주중 한국 대사관 공사를 초치했거든요. <br> <br>한중 관계는 다소 험로가 예상됩니다. <br> <br>Q. 안보 분야는 성과라면 미국과 핵 협력 문서에 서명을 한 건데, 그 이후에 한미간에 논란이 좀 있는 것 같기도 한데 정확한 의미를 짚어보죠. <br> <br>네, 이른바 '워싱턴 선언' 이죠. <br> <br>두 가지 의미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없었던 핵 무기 관련 한미 간 협의체가 생겼고, 지금까지 한반도로 오지 않았던 핵 전략자산이 정기적으로 들어온다. <br> <br>이 의미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실은 이런 표현을 썼는데요. <br><br>[김태효 / 국가안보실 1차장] <br>"우리 국민들이 사실상 미국과 핵을 공유하면서 지내는 것처럼 느끼시게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." <br><br>이에 미 정부 고위당국자, "사실상 핵공유로 보지는 않는다"고 곧바로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"미국이 핵공유라고 말할 때는 중대한 의미를 내포한다"는 것인데요. <br><br>미국에게는 '핵 공유'라는 표현이 핵 비확산이라는 기본 원칙을 흔들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Q. 경제분야는 실익이 없다, 야당이 지적하는데 이건 맞습니까. <br> <br>우리 반도체, 자동차 기업들을 보호할 새로운 조치를 얻어내지는 못했다는 게 비판의 핵심인데요. <br> <br>미국으로서는 자국 우선주의의 기조를 바꾸기가 쉽지 않다보니, 대통령실은 정상간 합의 대신 실무선에서 대책을 찾겠다는 전략입니다. <br> <br>우리 산업부와 미 상무부는 오늘 우리 기업의 경영부담을 최소화하기로 했다는 공동선언문을 냈는데요. <br> <br>아직 가시적인 조치를 얻어내지 못한 건 맞습니다. <br> <br>Q. 정상회담 인적 네트워크 측면도 있는데요. 미 의회 연설 보면 상하원 의원들 반응은 좋아보이더군요. <br> <br>네, 미국 의회에서 윤 대통령이 영어 연설을 했죠. <br> <br>민주당, 공화당 할 것 없이 미 의원들은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습니다. <br><br>연설 후 여러 의원이 SNS에 "윤 대통령은 미국의 위대한 친구"다, "양국의 철통같은 유대는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며"며 한국말로 "같이 갑시다"라고 적기도 했습니다.<br> <br>윤 대통령은 연설 후 미국 의원들이 연설문에 사인을 받으려고 하거나. 함께 사진 찍자며 몰려들어 10분 동안 퇴장을 못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Q. 정상간 친분을 쌓는 것도 중요한 정상 외교죠? <br> <br>네, 그렇습니다. <br> <br>한미 정상, 1박 2일, 약 36시간 동안 밀착행보를 보여줬는데요. <br> <br>국빈 만찬 때 양국 정상은 특히 박장대소를 하며 서로 친교를 나눴죠. <br> <br>바이든 대통령은 윤 대통령이 워싱턴을 떠나기 전 두 사람의 여정을 담은 사진첩을 선물했습니다. <br><br>해리스 부통령도 윤 대통령과 사흘 간 별도로 여러 일정을 함께했는데요.<br> <br>국빈 오찬을 주재하며 윤 대통령에게 친근감을 표현했습니다. <br><br>[카멀라 해리스 / 미 부통령] <br>"우리는 검사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법치, 정의, 책임에 대한 상호간의 약속도 공유합니다" <br><br>해리스 부통령은 BTS와 배우 윤여정 씨, 오징어게임 드라마도 언급했는데요. <br> <br>이번 순방 기간 K-콘텐츠가 양국의 연결고리 역할을 톡톡히 했습니다.